실시간 뉴스



[데스크칼럼] 겹겹으로 덮인 산속의 우주항공청


27일 개청 앞두고 첩첩산중

[아이뉴스24 정종오 기자] 겹겹으로 덮인 산속이다.

오는 27일 경남 사천에 우주항공청(우주청)이 들어선다. 개청 작업을 서두르고 있다. 정부 차원의 우주 전담 조직이 만들어지는 만큼 ‘기대’가 커야 하는데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 ‘우주항공 강국’ ‘뉴스페이스 시대’ ‘미래 경쟁력’이란 기대감보다는 걱정이 앞선다.

우선 직원 모집에 어려움이 뒤따르는 것으로 파악됐다. 우주청은 기존 관료에다 임기제 공무원을 결합해 만드는 전문 조직으로 꾸린다. 이 과정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등 중앙부처 직원들이 선뜻 ‘우주청으로 가겠다’고 나서는 이들이 적은 것으로 알려졌다.

.
.

심지어 과기정통부에서 우주청설립추진단과 그동안 우주 관련 업무를 봐 왔던 이들조차 우주청에 가고 싶지 않다고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이들의 ‘주저함’ 뒤에는 우주청의 한계, 경남 사천의 정주 여건 등이 총체적으로 결합하면서 “내가 왜?”라는 곳으로 이어진다.

여기에 임기제 공무원을 뽑고 있는데 전문 조직이라는 이름이 무색하게 전문연구원보다는 산업계 출신이 많은 것으로 확인됐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과 한국천문연구원 연구원들이 앞다퉈 우주청에 가고 싶다며 손을 들지 않고 있다는 거다.

우주청의 핵심 조직인 임무부문장에서도 마찬가지 현상이 벌어지고 있다. 임무본부장 아래 우주수송, 인공위성, 우주과학, 항공혁신 등 부문장은 우주청의 핵심 인재들이다. 부문장에 그동안 항우연과 천문연 등에서 관련 연구를 이어오던 이들이 연착륙해야 하는데 그렇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부문장 선정에 어려움이 뒤따르고 있다.

앞서 과기정통부는 우주청 부문장에 대해 ‘대통령보다 높은 연봉’ ‘최고 대우’ 등을 내세우면서 인재 모집에 나섰다. 이런 상황에서도 관련 인재들이 주저하고 있는 이유는 분명하다. 확실한 비전이 보이지 않고 우주청이란 한계를 잘 알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연구원들에게는 ‘돈’ ‘정주 여건’보다 더 중요한 게 있다. 자신의 연구 프로젝트가 외부의 지나친 간섭없이, 책임감 있고 자율적이고, 지속하기를 원한다. ‘돈’보다 더 중요한 이런 가치관을 앞세우는 것은 연구원들의 자존심이다.

그동안 우주 전담 조직을 그 누구보다 원했고 전담 조직에서 일을 하고 싶어 했던 이들이 정작 우주청으로 가고 싶지 않은, 이 아이러니는 어디서 비롯된 것일까.

‘우주청’ 그 자체에 있다. 청은 중앙부처 산하에 있으면서 자유롭고 유연한 조직을 만들기에는 역부족이다. 곳곳에 흩어져 있는 중앙부처별 우주정책을 조정하고 결합하는 것에서도 ‘부’가 아닌 ‘청’의 한계는 분명하다.

그동안 우주정책을 총괄해 왔던 과기정통부조차 여러 불협화음과 부처간 갈등으로 논란이 여러 번 있었다. 이런 마당에 과기정통부 산하청으로 출범하는 우주청의 한계는 분명하다는 게 연구원들의 판단이다. 연구원들이 주저하는 가장 큰 이유로 꼽힌다.

우주청이 이 같은 걱정과 우려를 잠재우고 기대감을 키우기 위해서는 넘어야 할 산은 선명하다. 현재의 과기정통부 산하청에서 가능한 독립하는 길을 빨리 찾아야 한다. 최소한 국무총리실 소속이어야 하고 궁극적으로는 대통령 직속 기관으로 자리 잡으면서 부처간 갈등 조율, 흔들리지 않는 우주정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

연구원 등을 포함해 경쟁력 있는 인물이 우주청으로 가지 않겠다고 하는 이유를 ‘정주 여건’ ‘처우 문제’ 등으로만 생각한다면 큰 오산이다. 우주청이 가진 한계를 스스로 극복하고 극복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줄 때 인재들은 자연스럽게 우주청으로 앞다퉈 뛰어 들어갈 것이다.

권한이 제한된 우주청이 우주개발을 총괄할 수 있는 기구로 확장할 수 있게 적극적으로 나서는 게 우주청의 현재이자 숙제이자 미래인 셈이다.

/정종오 기자(ikokid@inews24.com)

2024 iFORUM






alert

댓글 쓰기 제목 [데스크칼럼] 겹겹으로 덮인 산속의 우주항공청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포토뉴스